서울의 고궁, 창덕궁을 돌아보며... 2017, 11, 12

2017. 11. 14. 20:23서울

창덕궁은 조선의 궁궐로,
1405년(태종5) 경복궁의 이궁으로 동쪽에 지어졌고

이웃한 창경궁과 서로 다른 별개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나

하나의 궁역을 이루고 있어 조선 시대에는 이 두 궁궐을 형제 궁궐이라 하여 ‘동궐’이라 불렀다.


1592년(선조25) 임진왜란으로 모든 궁궐이 소실되고 광해군 때에 다시 짓는 과정에서

고종의 아버지 인,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기 전까지 조선의 법궁(法宮) 역할을 하였다.


또한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 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.

현재 남아있는 조선의 궁궐 중

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창덕궁은 1997년 유네스코 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.



돈화문 [보물 제383호] 

창덕궁의 정문으로 1412년(태종 12)에 건립되었다.

2층 누각형 목조건물로 궁궐 대문 가운데 가장 큰 규모이다.

돈화문 2층 누각에는 종과 북을 매달아 통행금지 시간에는 종을 울리고 해제 시간에는 북을 쳤다고 한다.

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 광해군이 즉위한 이듬해인 1609년에 재건되었다.


인정전(仁政殿:국보225호)

창덕궁의 정전(正殿)으로서

왕의 즉위식, 신하들의 하례, 외국 사신의 접견 등 중요한 국가적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.   


희정당(熙政堂:보물815호)


침전에서 편전으로 바뀌어 사용된 곳


동궁이 공부를 하던 전각


낙선재(樂善齋)(보물:제1764호)

조선 24대 임금인 헌종은

김재청의 딸을 경빈(慶嬪)으로 맞이하여 1847년(헌종13)에 낙선재를 지었고,

이듬해에 석복헌(錫福軒)을 지어  수강재(壽康齋)와 나란히 두었다.


낙선재는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였고,

석복헌은 경빈의 처소였으며,

수강재는 당시 대왕대비인 순원왕후(23대 순조의 왕비)를 위한 집이었다.


헌종은 평소 검소하면서도 선진 문물에 관심이 많았다.
그 면모가 느껴지는 낙선재는 단청을 하지 않은 소박한 모습을 지녔으며,  
석복헌에서는 순종의 비 순정효황후가 1966년까지 기거하였고,

낙선재에서는 영왕의 비 이방자 여사가 1989년까지 생활하였다.



석복헌(錫福軒)

 

순종의 비 순정효황후가 1966년까지 기거하였던 곳.


낙선재 일원




낙선재 일원


낙선재 뒷편의 아름다운 정자. 상량정


담장 너머의 단풍